Post

2016. 2. 14.

[Virtual Box] 새로운 가상 환경 생성하기 #1

무슨 바람이 불어서일까요? Windows 7에서 돌아가지 않는 여러 DOS 관련 프로그램들을 써보고 싶어서일까요? 아무튼 오늘 기어이 날을 잡고 오라클 Virtual Box 를 사용해 보기로 하였습니다. (뭐 지난 금요일에 발목을 크게 접질리는 바람에 깁스 상태를 2주간 유지해야 하니 시도해본 셈이지만요...ㅎ)

우선 1월에 VMWARE를 설치해보고자 했으나 유료임을 뒤늦게 깨달아서(험험;;;) 무료인 Virtual Box를 이용해 보았습니다. VMWARE 보다는 못할 수도 있겠지만 워낙에 구형 OS인 MS-DOS 6.22 를 설치하는 것인지라 그닥...;;

Virtual Box 프로그램 설치는 그냥 next만 누르면 되니 여기서는 다루지 않겠습니다.

Virtual Box 설치 후 이제 본격적인 DOS 설치에 들어가야겠습니다.
(실은 이 글을 포스팅하기 전에 수차례 재설치 작업을 해서 지쳤습니다....)


1. Virtual Box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관리자 화면이 뜨게 됩니다.


2. 이 곳에서 가상 CD-ROM을 지정하여야 합니다.
   유의할 점은 부팅 가능한 CD여야 하며, 부팅 이미지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.
   (Windows 기준 : Bootable Image Download)
   ※ 가상 CD-ROM 지정 방법은 다음 장에서... 여기서 설명 안 함(으잉? -.-;;)

3. 설치하고자 하는 환경을 꾸미는 작업을 시작해야 합니다.
   저는 MS-DOS 6.22를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DOSBOX 등 에뮬로는 돌아가지
   않는 고전 게임들이 있어 직접 DOS를 설치합니다. ^^;;

   1) 환경 새로 만들기
       - 상단의 새로 만들기를 클릭합니다.


       - 이름 및 운영 체제를 선택해야 합니다.


         이름은 자신이 식별할 VM 이름이니 자신이 원하는 것을 입력하면 됩니다.
         또한 저는 MS-DOS를 설치할 것이므로
         종류는 Other, 버전은 DOS 로 선택하였습니다.

   2) 메모리 크기 지정
       - 해당 VM에서 사용할 최대 메모리 사이즈를 지정합니다.
         DOS는 많이 지정해봐야 인식도 잘 안되니 추천해주는 32MB를 쓰겠습니다.


   3) 하드 디스크 설정
       - 지정한 OS별 추천하는 하드디스크 용량을 산출해 줍니다.
         사용자가 원하는 용량으로의 변경은 다음 단계에서 진행할 수 있으며,
         여기서는 가상 하드 디스크를 만들지 여부를 결정합니다.
         일반적으로 "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"를 선택합니다.


   4) 하드 디스크 파일 종류
       - 다른 가상화 소프트웨어에서의 연계 사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
         (아직 가상화 공부가 미흡하네요...ㅠ.ㅠ)
       - 여기서는 VDI (Virtual Box Disk Image)를 사용하겠습니다.


   5) 물리적 하드 드라이브에 저장
       - 동적 할당과 고정 크기로 나뉘게 됩니다.
       - 워낙 설명이 잘 되어 있어서 넘어갑니다.

         ※ 참고로 동적 할당이라고 해서 용량이 가변적으로 줄어들 수 있는 구조는
            아니기에 그냥 고정 크기를 선택하였습니다.

   6) 파일 위치 및 크기
       - 새 가상 하드 디스크 파일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.
         아까 "1) 환경 새로 만들기"에서 TEST-DOS라고 이름을 지었고,
         "4) 하드 디스크 파일 종류"에서 VDI를 사용하겠다고 하였으므로
         실제 로컬 PC(물리적 PC)에서는 자신이 지정하는 위치에 VM 관련 정보가
         저장됩니다.


          ※ 실제 로컬 PC에 TEST_DOS 폴더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


      - 그리고 용량은 "3) 하드 디스크 설정" 에서 Virtual Box가 자체 판단한 최적화 값인
        500MB를 추천한다고 하였으나 저는 1000MB(1GB)를 쓰도록 하겠습니다.


위의 순서대로 진행하니 TEST_DOS라는 환경이 생성되었습니다.
이렇게 초기 환경을 만들어 주면 되고, 다음 장에서는 가상 CD-ROM으로 Bootable Image Disk를 적용하고 실제 OS를 설치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