Post

2016. 2. 21.

[삼국지5][#4] 전투 및 정복 관련

삼국지 시리즈의 꽃은 당연히 전투 그 중에서도 일기토가 아닐까 싶습니다.
이번 장에서는 삼국지5에서 영토를 넓히거나 방어하기 위한 전투 방법과 그 외의 방법을 소개해 보겠습니다.


1. 전투

   가장 일반적인 영토 확장 및 자국 영토 보호의 수단이 됩니다.
   특히 삼국지5는 진형별 특성이 명확하여 적합한 진형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막대한 피해 및 병력 우위의 효과를
   날려먹을 수도 있습니다. (물론 반대의 경우도 있겠습니다.)

   1) 진형
       - 삼국지5에는 총 12개의 진형이 있고 각 진형은 적합한 지형이 있습니다.

       ① 추행 - 평지형
           : 기동력이 매우 뛰어나며, 강화기병을 개발할 경우 방어가 올라감
           : 강화기병 개발하기에는 시간이 많이 걸리며 효과도 그다지 좋지 않으므로 초반 또는 정말 후반기에
             게임을 빨리 끝내기 위해 추행을 선택함
           : 속공 스킬을 가진 무력이 높은 장수가 추행 진형을 사용하면 일기토를 통해 거의 일당백 수준으로
             적을 제거할 수 있음 (ex. 적토마를 가진 여포)


       ② 구행 - 산악형
           : 병사가 죽지 않고 부상병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진형이며 연노 개발 시 궁시공격 효과가 좋아짐
           : 단 산악형에서 봉시진 만큼 위력적이지 않으며, 성은 산악이 아니므로 그다지 유용하게 쓰이지는 않음


       ③ 기형 - 평지형
           : 병사가 죽지 않고 부상병으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은 진형임
           : 구행진과 마찬가지로 어린진에 비해 약한 공격력을 가지며 성 수비는 언월 또는 방원진을 사용하므로
             그다지 유용하게 쓰이지는 않음


       ④ 학익 - 평지형
           : 임진왜란 시 이순신 장군께서 사용했다는 학익진으로 생각하면 됨
           : 적을 포위하여 일제 공격을 할 수 있으며, 일제 공격을 당하는 적은 그 피해가 상당함


     ⑤ 어린 - 평지형
         : 돌격 공격이 가능한 진형으로 기동력도 나름 괜찮음
         : 단 궁시 공격 및 배후 공격에 매우 취약하며 상대 병력이 봉시 또는 어린진이고 본부대가 배후에서 돌격 공격을
           받게 되면 한 번의 공격으로 전멸할 수 있음
           (반대의 경우 아군 피해가 거의 없고 적을 전멸시킬 수 있음)


       ⑥ 언월 - 평지형
         : 공격력이 높고 크리티컬이 터질 확률 또한 높음
         : 장수의 용맹에 따라 더 큰 공격력을 발휘한다고 되어 있음
         : 봉시진, 학익진과 더불어 자주 사용하는 진형임


       ⑦ 봉시 - 산악형
         : 돌격 공격이 가능한 진형으로 기동력도 나름 괜찮음
         : 전차를 개발하면 방어가 강해져 언월진과 함께 매우 유용한 진형이 됨
           (전차 개발은 기간도 짧고 비용도 저렴하여 쉽게 개발할 수 있음)
         : 전차를 개발하지 않을 경우 궁시 공격에 매우 취약하고, 전차를 개발하더라도 배후 공격에 매우 취약하므로
           상대 병력이 봉시 또는 어린진이고 본부대가 배후에서 돌격 공격을 받게 되면 한 번의 공격으로 전멸할 수 있음
           (반대의 경우 아군 피해가 거의 없고 적을 전멸시킬 수 있음)


       ⑧ 형액 - 산악형
         : 산악지에서의 방어에 유리한 진형임
         : 필자의 경우는 형액보다는 구행을 더욱 선호함
           따라서 형액을 쓸 바에는 전차를 개발한 봉시진을 사용하겠음
           (구행진 소개 내용 참조)


       ⑨ 장사 - 산악형
         : 산악 기동이 매우 뛰어난 진형으로 통갑옷을 개발하면 방어 및 활방이 더욱 올라감
         : 특히 통갑옷은 전차와 더불어 빠르고 저렴하게 개발할 수 있음
         : 장사진은 신속을 요구하는 산악 및 숲이 많은 곳에서 빛을 발하며(주로 익주)
           특히 속공, 강행을 가진 장수가 유용함 (ex. 방덕)
       

       ⑩ 방원 - 평지형
         : 방어에 특화된 원형 진형으로 활공 범위 역시 3칸으로 넓은데다 발석차를 개발하면 궁시 공격이 무시무시해짐
         : 원시/응사/화시를 가진 장수가 홍농 관문에 병력 2만을 이끌고 있다면 답이 없음
         : 기동력이 떨어지나 방원진으로 기동력을 고려하는 것은 크게 의미가 없음
       

       ⑪ 안행 - 평지형
         : 궁시 공격에 특화된 V자형 진형으로 활공 범위가 방원진과 동일한 3칸임
         : 단, 방원진에 비해 방어거 떨어지므로 그다지 사용하지는 않음


       ⑫ 수진 - 수상형
         : 유일한 수상진형으로 강/습지 등 물과 관련된 곳에서의 이동이 뛰어남
         : 특히 습지에서 발이 늪에 빠지며 혼란을 당하는 경우가 있는데 수진을 쓰면 이를 100% 회피할 수 있음
         : 오(吳)군 장수들이 주로 보유하고 있음


   2) 일반적인 공격

   3) 일기토

   4) 배신


2. 그 외

   1) 외교를 이용한 협박
       - 상대국과의 전력 차이가 압도적이어야 함
       - 전체 영토의 50%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인접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음





  2) 태수 등용
      - 정말 보기 어려우나 양동작전으로 쓰기에는 좋습니다.
        ① 등용하려는 장수가 상대국의 태수여야 하고,
        ② 해당 도시의 장수가 태수 1명이어야 합니다.
            ※ 등용 후 바로 상대국에게 털릴 수 있음

댓글 없음:

댓글 쓰기